제주 고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고씨는 탐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고을나를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을나는 양을나, 부을나와 함께 한라산 삼성혈에서 출현하여 제주에 정착했으며, 후손들은 탐라국을 세습 통치했다. 고려 시대에는 고말로가 고려에 내조하여 성주와 왕자의 작위를 받았으며, 조선 시대에는 문과와 무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주요 본관으로는 제주가 있으며, 성주공파, 전서공파 등 다양한 분파가 존재한다. 2015년 기준 인구는 31만 명 이상이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주 고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문명 | 제주 고씨 |
로마자 표기 | Jeju Go clan |
문장 | Jeju Go clan family seal.svg |
종류 | 씨족 |
국가 | 조선 |
영지 | 제주특별자치도 |
시조 | 고을나 |
중시조 | 고말로 |
저명한 인물 | 고영희 고영근 고희동 고흥문 고병현 고은 고귀남 고건 고용희 |
홈페이지 | 공식 사이트 |
통계 정보 | |
2015년 인구 | 310,542명 |
나라 | 한국 |
2. 역사
제주 고씨의 시조는 탐라 건국 신화에 나오는 삼신인(三神人) 가운데 한 사람인 '''고을나'''(高乙那)이다. 탐라 개국설화에 의하면, 한라산 북쪽 기슭 삼성혈(三姓穴)에서 양을나, 부을나와 함께 세 신인(神人)이 출현하였다. 그 후 제주도로 표류(漂流)해 온 상자에서 세 명의 여자, 오곡종자(五穀種子), 가축이 나와 이들과 함께 섬에 정착하였다고 한다.
고을나의 15세손 고후(高厚)·고청(高淸)·고계(高季) 세 형제가 배를 만들어 타고 바다를 건너 탐진(耽津 : 現 전라남도 강진군)에 이르렀고, 신라에 내조(來朝)하여 고후는 성주(星主), 고청은 왕자(王子), 고계는 도내(徒內)라는 칭호를 받았다. 처음 왔을 때 탐진에 정박하였기 때문에 탐라(耽羅)라는 국호(國號)를 받았다.[10]
고을나의 45세손 탐라국주 고자견(高自堅)의 태자 '''고말로'''(高末老)가 938년(태조 21년) 고려에 내조(來朝)하여 성주(星主)·왕자(王子)의 작(爵)을 받았고, 자치를 허락받았다. 이후 조선 초기까지 후손들이 성주의 칭호를 계승하며, 탐라국을 세습 통치하였다.
고말로의 세 아들인 고유(高維), 고강(高綱), 고소(高紹)가 모두 과거에 급제하고 관직에 올랐다.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고유(高維)의 아들인 고조기(高兆基)가 고려 의종 때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에 이르렀다.[11]
제주 고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34명, 무과 급제자 225명을 배출하였다. 장흥 고씨, 개성 고씨 등 분적종을 합하면 문과 급제자 79명, 무과 급제자 289명이다.
{{인용문|탐라현(耽羅縣)은 전라도(全羅道) 남해(南海) 중에 있다. 그 옛 기록에 이르기를, "태초에 사람과 물건이 없었는데, 세 신인(神人)이 땅에서 솟아났으니, 〈그 주산(主山) 북쪽 기슭에 모흥혈(毛興穴)이라는 굴이 있으니, 그곳이다.〉 맏이는 양을나(良乙那)요, 다음은 고을나(高乙那)요, 셋째는 부을나(夫乙那)였다. 세 사람은 한적한 곳에서 사냥을 하며, 가죽옷을 입고 고기를 먹었다. 하루는 자니(紫泥)로 봉한 나무 상자가 동해(東海) 가에 떠내려오는 것을 보고, 다가가 열어보니, 상자 안에 돌 상자가 있었다. 붉은 띠에 자색 옷을 입은 사자(使者)가 딸려 왔는데, 돌 상자를 열어보니, 푸른 옷을 입은 처녀 셋과 여러 말, 송아지, 곡식 씨앗이 나타났다. 이에 이르기를, '나는 일본국(日本國)의 사자(使者)이다. 우리 왕이 이 세 딸을 낳으면서 이르기를, "서해(西海) 가운데 산신(山神)의 아들 세 사람이 장차 나라를 열고자 하나 짝이 없다."라고 하였다. 이에 신(臣)에게 세 딸을 모시고 오도록 명하였으니, 그대들이 짝을 지어 크게 대업(大業)을 이루라' 하였다."zh-Hant
영주(瀛州)라고 불리며, 아직 사람이 살지 않던 태고(太古)의 제주에 양을나(良乙那), 고을나(高乙那), 부을나(夫乙那)의 세 성(姓)을 가진 세 신인(神人)이 한라산(漢拏山) 북쪽 기슭의 삼성혈(三姓穴)에 나타났는데, 이들이 제주 사람들의 시조이다. 어느 날, 한라산(漢拏山)을 바라보던 그들은 동쪽에서 흘러오는 나무 상자를 발견했다. 열어보니 상자 안에는 일본에서 왔다는 사자(使者)와 아름다운 세 명의 공주, 가축과 오곡(五穀)의 씨앗이 들어 있었다. 세 신인(神人)은 그녀들을 아내로 맞이하여 산업과 오곡(五穀)의 재배를 시작하고, 마을을 이루었다.|고려사|권57}}
2. 1. 기원
탐라 역사는 반만년 역사로 표기하고 있지만 실제 역사 출발은 제주 3성이 철기를 가지고 이주해 온 철기 문화부터이며 초기에는 고구려와만 사신 왕래를 하였다. 왕이라는 뜻의 '을라'가 북방민족 언어로 대족장이라는 뜻이여서 삼성혈, 삼족오처럼 3을 신성시 여기는 부여계 고구려와 같은 고씨로 추정하는 설도 있다. 조선 초까지 왕위직을 유지했기 때문에 1500년 이상 왕조를 유지했다.고려사57권에 따르면, 영주(瀛州)라고 불리며 사람이 살지 않던 태고(太古)의 제주에 양을나(良乙那), 고을나(高乙那), 부을나(夫乙那)의 세 성(姓)을 가진 세 신인(神人)이 한라산 북쪽 기슭의 삼성혈(三姓穴)에 나타났는데, 이들이 제주 사람들의 시조이다. 어느 날, 한라산을 바라보던 그들은 동쪽에서 흘러오는 나무 상자를 발견했다. 열어보니 상자 안에는 일본에서 왔다는 사자(使者)와 아름다운 세 명의 공주, 가축과 오곡(五穀)의 씨앗이 들어 있었다. 세 신인(神人)은 그녀들을 아내로 맞이하여 산업과 오곡(五穀)의 재배를 시작하고, 마을을 이루었다.
2. 2. 고려 시대
2. 3. 조선 시대
3. 본관 및 분파
3. 1. 본관
3. 2. 분파
주요 종파로는 성주공파(星主公派)·전서공파(典書公派)·영곡공파(靈谷公派)·문충공파(文忠公派)·장흥백파(長興伯派)·화전군파(花田君派)·문정공파(文禎公派)·상당군파(上黨君派)·양경공파(良敬公派) 등이 있다.고말로의 증손 고공익(高恭益)은 상당 고씨(上黨高氏), 또 다른 증손 고령신(高令臣)은 개성 고씨로 분관하였다. 고말로의 10세손 고중연은 장흥 고씨(長興高氏), 후손 고종필(高宗弼)은 연안 고씨(延安高氏)로, 고말로의 23세손 고응섭(高應涉)은 안동 고씨(安東高氏)로 분관하였다.
3. 3. 집성촌
제주 고씨(濟州高氏)는 탐라국 왕족으로, 신라 경순왕과 함께 고려에 귀부하였다. 4세 고공익(高恭益) 대를 전후하여 관향(貫鄕)인 제주(濟州)에서 개성(開城)·장단(長湍) 등 경기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고려는 탐라국 왕위직인 성주(星主)직을 유지하며 조선 초기까지 벼슬과 함께 별도의 왕위직을 세습하였다. 태조 이성계의 부관으로 조선개국공신인 고려(髙呂) 장군을 파조로 하는 고성군파(高聖君派)는 국가에 공로를 세워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 일대에 '고택골(고씨마을)'이라 불리는 집성촌을 이루었다. 영조 때 수원성을 축성하기 위하여 재산을 기부헌납하며 경기도 수원시로 이주하여 수원에도 집성촌을 이루었으나, 조선말 역병으로 세가 크게 위축되었다.성주공파(星主公派)와 전서공파(典書公派)는 청주(淸州)와 서울 ㆍ 일본 등지에서, 영곡공파(靈谷公派)는 제주도와 경기도·강원도ㆍ충청도ㆍ전라도·경상도ㆍ이북 5도 등지에 세거하였다. 문충공파(文忠公派)는 개성(開城)을 비롯하여 전북ㆍ경기ㆍ강원도 ㆍ충청도ㆍ경상도 일원에 살았으며, 일부는 황해도 연백(延白)으로 옮겨갔다. 장흥백파(長興伯派)는 전라남도, 화전군파(花田君派)는 전남 구례(求禮)와 영월(寧越)에 세거하였다. 문정공파(文禎公派)는 남원(南原) 등 전북지방, 상당군파(上黨君派)는 함경도와 청주(淸州) 등지에 세거하였다. 개성 고씨 양경공파(良敬公派)는 경상북도 상주(尙州)와 문경(聞慶) 등지에 주로 살았다.
1930년경 제주 고씨는 제주도 제주시(濟州市)·남제주군·북제주군, 전라남도 광주시(光州市) 등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충청남도, 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황해도, 평안남도, 함경남도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다. 특히 전남 광산군(光山郡) 대촌면(大村面) 압촌리(鴨村里) 마을은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의 고향으로, 그의 자손들이 많이 살고 있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32,756명, 총인구의 8.24%)이다.[8]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 제주도 서귀포시(8,156명, 총인구의 6.26%)[9]
4. 인구
제주 고씨는 2000년에는 325,950명,[8] 2015년에는 310,542명이었다.[8]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32,756명, 총인구의 8.24%)이다.[8] 집성촌이 있는 지역은 제주도 서귀포시(8,156명, 총인구의 6.26%)이다.[9]
5. 항렬자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
口진(鎭) | 제(濟) | 口주(柱) | 광(光) | 口재(在) | 종(鍾) | 口윤(潤) | 병(秉) | 口열(烈) | 기(基) | 口현(鉉) | 한(漢) | 口근(根) | 연(然) | 口배(培) | 석(錫) | 口순(淳) | 정(楨) | 口혁(爀) | 규(圭) | 口용(鎔) | 연(淵) | 口동(東) | 희(熙)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59세 | 60세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66세 | 67세 | 68세 | 69세 | 70세 | 71세 | 72세 | 73세 | 74세 | 75세 |
---|---|---|---|---|---|---|---|---|---|---|---|---|---|---|---|---|---|---|---|---|---|---|---|
口중(重) | 호(鎬) | 口영(泳) | 낙(樂) | 口섭(燮) | 재(載) | 口탁(鐸) | 태(泰) | 口권(權) | 찬(燦) | 口균(均) | 은(銀) | 口구(求) | 영(榮) | 口훤(烜) | 준(埈) | 口연(鍊) | 호(浩) | 口송(松) | 형(炯) | 口증(增) | 옥(鈺) | 口원(源) | 병(柄) |
76세 | 77세 | 78세 | 79세 | 80세 | 81세 | 82세 | 83세 | 84세 | 85세 | 86세 | 87세 | 88세 | 89세 | 90세 | 91세 | 92세 | 93세 | 94세 | 95세 | 96세 | 97세 | 98세 | 99세 |
---|---|---|---|---|---|---|---|---|---|---|---|---|---|---|---|---|---|---|---|---|---|---|---|
口훈(熏) | 보(報) | 口용(鏞) | 숙(淑) | 口림(林) | 환(煥) | 口준(埻) | 예(銳) | 口택(澤) | 항(桁) | 口엽(燁) | 요(堯) | 口일(鎰) | 해(海) | 口경(㯳) | 현(炫)) | 口재(㘽) | 명(銘) | 口담(淡) | 상(相) | 口형(熒) | 타(垞) | 口건(鍵) | 하(河) |
6. 참고사항
wikitext
참조
[1]
웹사이트
성씨ㆍ본관별 인구(5인 이상) - 전국
https://kosis.kr/sta[...]
2022-11-16
[2]
웹사이트
髙씨姓 표기에 대하여
http://jejugo.co.kr/[...]
2008-10-23
[3]
뉴스
양을라(良乙那)
http://encykorea.aks[...]
2022-04-21
[4]
서적
古代朝鮮と倭族 神話解読と現地踏査
中央公論社
1992-07
[5]
뉴스
고을나(高乙那)
http://encykorea.aks[...]
2022-04-21
[6]
웹사이트
(71)제주고씨
https://www.joongang[...]
1983-07-02
[7]
웹사이트
도내 인구 17%는 ‘김씨’ 성 가졌다
http://www.jejunews.[...]
2016-12-26
[8]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9]
웹사이트
고씨(髙氏) 본관(本貫) 제주(濟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10]
웹사이트
고려사 권57, 지제11, 지리(地理)2
https://terms.naver.[...]
[11]
웹사이트
고려사 권98, 열전11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